리눅스에 Tomcat을 설치하고 class등을 설정하였는데,
문제는 개발을 리눅스에서 같이 한다는 것은. 참으로 불편(?) 하다..
게임도 해야 하는데, 그러면 Windows 를 사용하지 않을수도 없을뿐 더러..
Eclipse 에서 Tomcat 서버랑 직접 연결해서 작업을 해야만..
실질적인 Debugging 도 가능하고, 바로바로 볼수가 있는데
Windows 에 Eclipse 를 설치하고, Linux 를 연결해서 작업하는것은 불가능하다. (?)
아직 내가 모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.
그래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비슷하게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.
1. Eclispe Marketplace 로 가서 검색어에 "RSE" 를 입력한다.
2. 해당 플러그인을 Install 하면 왼쪽에 local ... 를 비롯한 트리뷰가 나온다.
3.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러서 New Connection을 누르면..
4. SSH only 를 선택한다.
5. root/ 비번등을 넣으면.. 윈도우 탐색기처럼 리눅스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.
이렇게 하면, 리눅스 파일을 쉽게 고칠수 있다..
하지만, 이렇게 하고나니 복사라던가...
새로운 파일을 만드는데 제약이 있다.
단, 기존의 파일을 고쳐서 사용하는데는 아주 편리하다..
그래서 사용하는게 Samba 라는 것이다.
Samba 는 Linux 서버의 특정 폴더를 공유해주는 기능이 있다.
즉, 컴퓨터에서 특정 폴더를 공유하고, 읽기, 쓰기 권한을 주면..
네트워크 환경에서 다른사람이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Linux 에서 구현하는 것이다.
이렇게 함으로써.. 사실상 서로 파일을 탐색기로 주고 받으니 무지 편리하다는 것이다.
Samba 설정방법
1. rpm -qa | grep samba
2. samba 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데.. samba-client... samba-common... samba-3.0... 요렇게 3개가 나온다. 없으면 설치하시고..
3. vi /etc/samba/smb.conf
4. 해당파일을 열어보면...
74번째 줄에 다음이 있다.
workgroup = WORKGROUP (네트워크 환경에 나오는 그룹, 일반적으로 workgroup을 쓰는?)
server string = CENTOS55 (컴퓨터 이름)
netbios name = CENTOS55 (Windows 탐색기는 기본적으로 netbios이름을 보여주니 여기도 컴퓨터 이름)
; interfaces = lo eth0 192.168.12.2/24 192.168.13.2/24
; hosts allow = 127. 192.168.12. 192.168.13.
hosts allow = 192.168.126. 127. (접속할 상대방의 아이피 대역을 넣어준다. A,B,C 클래스 모두 가능하다)
126번째 줄
; security = domain
security = share (보안등급을 share 로 해줘야 폴더 공유가능)
285번째 줄
[public] (이곳이 공유폴더를 설정한다. 이게 이름)
comment = Public Stuff
path = /usr/local/tomcat (tomcat 메인폴더를 공유)
; read only = no
public = yes (public 도 가능)
writable = yes (쓰기가능)
only guest = yes (손님도 가능, 즉 누구나 다 사용할수 있음)
; security = share
; guest ok = yes
; printable = no
; write list = +staff
이렇게 한다음...
samba 서비스를 올려준다.
5. service smb start
6. 윈도우 탐색기로 열어서 해본다... 얼레 나오지 않는다.. 이유는 방화벽을 풀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.
*방화벽을 안쓰시면 사용할 수 있음.. 하지만.. ㅋ
7. vi /etc/sysconfig/iptables 를 열어본다..
8. 135, 137, 138번 udp 포트와 139, 445 tcp 포트를 열어줘야 한다.
9.
-A RH-Firewall-1-INPUT -p udp -m udp --dport 135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p udp -m udp --dport 137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p udp -m udp --dport 138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139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445 -j ACCEPT
를 추가한다.
10. /etc/rc.d/init.d/iptables restart 해준다.
요렇게 하면 윈도우 탐색기에서 짠 하고 나타난다.
다음. 이것을 Elicpse에도 연결할 수 있다.
물론 위의 폴더로 tomcat 서버를 설정하면 된다..
문제는 서비스 올리고, 내리고... debug 등은 되지 않는다. ㅠㅠ
하지만, 사소한 문법상의 오류는 잡아주는 듯 하다..
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좋겠는데...
'리눅스 관련(Centos5.5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 5.5 apache 와 tomcat 연동... (0) | 2011.04.01 |
---|---|
Centos 5.5 , Tomcat 설치 (0) | 2011.04.01 |